| 번호 | 제목 | 저자 | 파일 |
|---|---|---|---|
| 13 | 초엄선사 「三花傳」의 작중인물과 공간의 실체 | 하강진 |
|
| 12 | 박재삼 시의 전통재현 방식 연구-『춘향이 마음』을 중심으로 | 조춘희 |
|
| 11 | 《금오신화》의 세 여성과 서사적 특징 | 정규식 |
|
| 10 | 김성집의 대중가요 가사 연구 | 장유정 |
|
| 9 | 정지용의 「바다」 연작시에 나타난 수(水)의 상상력 | 이종옥 |
|
| 8 | 근대 초기 회의 규범의 수용과정(1)-『의회통용규칙』을 중심으로 | 이정옥 |
|
| 7 | 20C초 몽유록의 현실 인식과 대응 방식 | 이병직 |
|
| 6 | 이양지 소설에 나타난 경계인 양상 연구-<나비타령>과 <유희>를 중심으로 | 오선영 |
|
| 5 | <전우치전>으로 살펴본 영웅소설의 변화 | 안창수 |
|
| 4 | 스토리텔링과 수업 기술 | 박인기 |
|
| 3 | 남해군 설화의 지역성 연구-이성계 전설을 중심으로- | 류경자 |
|
| 2 | 현대시의 치유시학적 연구 | 김성리 |
|
| 1 | <태백산맥>에 형상된 미시사와 대중성 | 권은미 |
|
| 목록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