번호 | 제목 | 저자 | 파일 |
---|---|---|---|
20 | 중층분석이론을 통한 시 지도법 연구 | 양왕용 |
![]() |
19 | 전쟁소설의 새로운 가능성 -「하얀 전쟁」을 중심으로- | 이 경 |
![]() |
18 | 전쟁과 수난의식의 소설적 의미-한국과 독일의 전쟁소설 비교 검토- | 김정자 |
![]() |
17 | 일제말 가족사ㆍ연대기소설의 현실대응 양상과 문학사적 의의 | 류종렬 |
![]() |
16 | 함형수 시 연구 -시적 변모과정을 중심으로- | 권택우 |
![]() |
15 | 서사기법으로 본 이태준 소설의 연구-해방이전의 리얼리즘 경향의 단편소설을 중심으로- | 서은선 |
![]() |
14 | 한국 근대 농민시의 전개과정과 현실표상 연구-'조선농민사'의 농민시를 중심으로 | 박경수 |
![]() |
13 | 조명희 단편 <낙동강>의 프로문학적 성격 | 장량수 |
![]() |
12 | 현수문전의 영웅소설적 위상 연구 | 김수봉 |
![]() |
11 | 나옹 단시에 나타난 달[月]의 상징 | 이종군 |
![]() |
10 | 구비시가의 텍스트 구성 책략 | 한채영 |
![]() |
9 | 초기설화의 변장모티프 수용양상-『삼국사기』ㆍ『삼국유사』를 중심으로- | 정준식 |
![]() |
8 | 구지가고 | 이연숙 |
![]() |
7 | 신경향파 소설 연구 -내용ㆍ형식 논쟁과 관련하여- | 명형대 |
![]() |
6 | 역사의식의 결여와 민중 모독-이문열 중편 <칼레파 타 칼라>의 경우 | 장양수 |
![]() |
5 | 현대시에 있어서의 자기동일성 위기 | 강남주 |
![]() |
4 | 신역사주의와 한국 현대비평 | 김준오 |
![]() |
3 | 조선조 불가문학의 역사성 | 이진오 |
![]() |
2 | 잠령칠현과 조선전기 은일의 문학사적 의미 | 정경주 |
![]() |
1 | 박씨전과 병란 | 정상진 |
![]() |
목록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