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번호 | 제목 | 저자 | 파일 | 
|---|---|---|---|
| 15 | <용궁부연록>의 작품세계와 의미 | 안창수 |   | 
| 14 | <이현경전>의 이본 연구 | 이병직 |   | 
| 13 | <何生奇遇傳>과 육체의 서사적 재현 | 정규식 |   | 
| 12 | "아베 미츠이에(阿部充家)의 조선기행문 <湖南遊歷>, <無佛開城雜話>" | 심원섭 |   | 
| 11 | 이청준 소설의 영화적 변용에 나타난 서사적 특성 연구 | 이현석 |   | 
| 10 | <박만득전>에 나타난 갈래 교섭 사례 | 정준식 |   | 
| 9 | 이봉상 피화담의 문학성 | 조선옥 |   | 
| 8 | 국어교과의 고전시가 작품 수용에 대한 비판-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- | 임주탁 |   | 
| 7 | <雲水誌>의 중국 역사 수용 양상과 그 의미 | 곽정식 |   | 
| 6 | 예술가의 삶의 형상화와 그 의미-김춘수의 연작시 <이중섭>을 중심으로- | 김성리 |   | 
| 5 | <춘향전(春香傳)> 작품군(作品群)을 활용한 서사(敍事) 갈래 학습 방안 | 신원기 |   | 
| 4 | 2인칭소설의 서술층위 연구 | 황국명 |   | 
| 3 | 현경준의 <유맹> 연구 | 차성연 |   | 
| 2 |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강순 연구 | 하상일 |   | 
| 1 | 백도기의 <본시오 빌라도의 手記>와 복음서의 상호 텍스트성 연구 | 차봉준 |   | 
| 목록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