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번호 | 제목 | 저자 | 파일 |
|---|---|---|---|
| 17 | <화정선행록>에 나타난 多重結綠의 複合 構造 | 조광국 |
|
| 16 | 「귀의 성」에 나타난 질투와 시기의 의미 | 김종욱 |
|
| 15 | 1930년대 중후반 임화 시와 비평의 관계 | 허 정 |
|
| 14 | 경판방각소설의 각자체(刻字體) 연구 | 이창헌 |
|
| 13 | 근대계몽기 여성의 국민화와 가족-국가의 상상력-『매일신문』을 중심으로- | 김경연 |
|
| 12 | 韓國文獻이 나에게 던져 준 質問들-未決의 章을 위한 提言- | 류탁일 |
|
| 11 | 『의유당관북유람일기』의 텍스트 성격과 여성문학사적 가치 | 류준경 |
|
| 10 | <江都夢遊錄>에 나타난 역사적 상처와 형상화 방식 | 정충권 |
|
| 9 | "지역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(2)-제주, 전남ㆍ광주, 부산ㆍ경남을 중심으로" | 남송우 |
|
| 8 | 라성덕의 《우리 새 세대》 연구 | 민병욱 |
|
| 7 | '국민' 담론 형성과 균열의 기원-『매일신문』을 중심으로- | 박대현 |
|
| 6 | 근대계몽기 신문 매체와 근대의 글쓰기-『매일신문』을 중심으로- | 이재봉 |
|
| 5 | 4월혁명시의 매체적 기반과 성격 연구 | 이순욱 |
|
| 4 | 1960년대 전후소설의 대립 구조와 주제 의식-『광장』ㆍ『방앗골 革命』ㆍ『시장과 전장』을 중심으로 | 이성우 |
|
| 3 | 재일한국인 유미리의 소설 연구-경험의 문학교육적 가능성에 관한 시론 | 변화영 |
|
| 2 | 균여 향가의 밀교적 성격과 문학성에 관한 연구 | 이연숙 |
|
| 1 | 근대계몽기 법 담론과 그 균열의 양상-『매일신문』을 중심으로- | 임회록 |
|
| 목록 |